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메타버스 관련 투자전략

728x90
728x90
SMALL

1. 투자 배경 및 투자포인트
투자 방향에 대한 생각

메타버스와 관련된 투자처는 굉장히 다양합니다. 관련 기술까지 포함한다면 메타버스는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메타버스 관련해서 잘하고 있는 회사들은 페이스북, 엔비디아NVIDIA,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지금도 다 잘하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입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빅테크 기업들의 핵심 역량인 수직 통합된 생태계(디지털 플랫폼,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디바이스, 콘텐츠 등)가 메타버스 산업에서 엄청난 경쟁력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빅테크 회사들은 지금도 기업가치가 크고 비싸지만 앞으로도 더 성장할 여지가 많다고 생각이 됩니다.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반드시 돈이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중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할 메가트렌드인 메타버스 시대의 시작
  • 비대면 환경, 5G, AI 등 기술발전과 온라인 소통에 익숙한 MZ세대가 더해져 본격적인 메타버스 시대 도래
  • 일시적인 테마, 트렌드를 넘어 포스트 인터넷 시대의 新패러다음으로 성장 기대

실생활 속 메타버스 사례는?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여 그 속에서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가치를 창출하는 세상

 (사례) 아이돌그룹 뮤직비디오 공개(포토나이트), 아이돌그룹 가상 팬사인회에 4,600만명 참여(재페토), 가상공간 내 명품 한정판 판매(로블럭스), 협업툴 일일 활성사용자 14,500만명(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대학 입학식 및 기업 신입사원 가상공간 연수 등

성장하는 메타버스 산업 관련 유망 주식은?

게임, 소셜라이프, 비즈니스, 산업, 교육 등 메타버스 관련 다양한 분야중에서 디지털트윈 투자할 계획임.  - 온라인 게임·엔터테인먼트·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3D 구현 엔진, 전자결제, AR/VR/XR 산업, 5G 비즈니스, 디지털트윈

기존 지배적 디지털 사업자의 비즈니스 확대 및 신규 메타버스 관련 기업의 등장 등 시장 활성화 예상

2. 투자대상

디지털트윈의 정의

가상의 세계에 현실을 반영한 모델을 구현  
◆ 실제 세계와 가상의 세계를 실시간으로 분석  
◆ 미래 사태를 미리 예측→대비
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가상 구현
◆ 제조 분야, 교통 및 도시 분야 등 응용분야가 광범위
◆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우리 일상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 중에 스크린골프도 일종의 디지털트윈이라고 할 수 있음

아크버스는 네이버랩스가 5년여간 개발해 온 인공지능·로봇·클라우드·디지털트윈·5G·자율주행·증강현실 등 기술들을 융합해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메타버스 생태계임
아크버스를 구성하는 솔루션과 시스템이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증강현실, 가상현실, 스마트빌딩, 스마트시티처럼 현실세계의 혁신적 서비스 및 인프라와 연결된다는 의미
소프트뱅크와 일본 HD맵 제작 진행기술로 글로벌 도전하는 또 하나의 사례
석상옥 대표 "아크버스, 온라인의 네이버를 물리세계와 자연스럽게 연결할 것
메타버스 디지털트윈으로 가상 복제도시를 개발, MS, 아마존도 디지털트윈 복제도시를 개발 중에 있으며 앞으로 이 시장은 엄청난 성장이 예상됨

연결의 주축은 네이버클라우드와 5G를 기반으로 빌딩과 로봇들의 두뇌 역할을 대신하는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 '아크'(ARC)와 독자적인 실내·디지털트윈 데이터 제작 솔루션 '어라이크'(ALIKE).

현재 소프트뱅크와 함께 일본에서 ALIKE 솔루션을 활용한 도시 단위 고정밀 지도(HD map)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음

3. 네이버의 차원 다른 ‘아크버스‘… 일본 도시를 복제한다
온라인 공간서 커피주문하면 오프라인 로봇이 실제 배달
AI로 회사 경쟁력 강화
제페토에 접목해 시장선점 계획
 

아크버스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다른 메타버스 서비스와 달리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네이버 한 관계자는 아크버스에 대해 "로블록스처럼 가상세계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다"라며 "예를 들어 현실세계에서 물건을 구매하거나 하면 가상세계에 바로 반영되는 실시간 동기화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확실한 차별화 지점이다. 

투자 이유는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기술이고, 소프트뱅크가 투자를 하기 때문에 전망이 밝다고 판단이 되기 때문입니다.

 

 

주식 투자의 계획은  "장기 투자가 답이다."

스펜서 헤이우드(Spencer Haywood)라는, 197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미국의 유명한 농구선수가 있다. 1970년에 MVP를 수상했고 시애틀 슈퍼소닉스팀의 전설적 선수로 NBA명예의 전당에도 이름을 올렸다.

헤이우드 선수는 한창 명성을 높이고 있을 때 나이키로부터 후원제안을 받았다. 나이키 농구화를 신고 경기를 뛰어 준다면 그 대가로 두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받을 수 있다는 제안이었다. 하나는 현금 10만 달러, 다른 하나는 나이키 주식의 10%였다.

작은 기업의 주식은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주식대신 현금 10만 달러를 택했다.

시간이 흐른 후에 헤이우드는 그것이 인생에 있어 최악의 의사결정이었다고 후회했다. 그로부터 45년이 더 지난 현재 나이키의 시가총액은 1,100억 달러 정도다. 만약 당시 헤이우드가 주식 10%를 택했다면 그 가치는 현재 110억 달러(132,000억 원)가 되었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