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UN책임투자원칙(UN PRI)제정, 금융투자업계의 역할 요구함, 즉 자금으로 기업을 압박하여 ESG유도
* 인류가 지구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 환경, 사회, 기업의 지배구조를 변화 시키지 않고서는 도저히 안되겠다고 판단한 것이죠. ESG를 강제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것은 "Money" 겠죠?
우리나라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 G보고서 2019년부터 일부 시행중(2019년에는 2조원 이상 기업, 2022년 1조원 이상, 2024년 5,000억 이상), 2026년부터 전면시행 기업발등의 불
□ 환경(Environment), 사회(Society) 및 지배구조(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기업의 非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를 통칭
○ 재무제표나 현금흐름과 같은 금전적 이익 외에 기억의 기속가능성과 사회적 영향까지 고려해 투자 대상을 선정하겠다고 등장한 기준
○ 글로벌 금융회사·투자은행·신평사 중심을 상품개발 및 투자 의사결정에 ESG 적극 반영 중.
- 세계 최대 자산관리기업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투자자들과 기업 CEO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으로 투자 결정 기준으로 삼겠다"고 선언('20)
- 글로벌 자금 시장 내 ESG가 新표준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미국·EU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ESG 경영을 선언하면서 협력업체 전체로 ESG 경영기조가 확산 추세
- 기업의 선제적인 움직임에 보조를 맞춰, 국가 차원에서도 제도화 움직임 활발
* 각국의 그린딜과 친환경에너지 정책 도입까지 맞물리면서 업게 ESG 경영 확산 촉진
+ EU에서는 '기업의 공급망 인권 및 환경실사 의무법안' 추진 등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멋진 날 (0) | 2022.04.27 |
---|---|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0) | 2022.04.11 |
[실검인물전] 중졸에 난독증이지만 350개 계열사 CEO가 된 사나이, 리처드 브랜슨 (3) | 2022.04.07 |
신사업전략 / Ansoff의 제품/시장 매트릭스 (0) | 2022.03.24 |
2022년 학술연구용역 인건비 기준단가 (0) | 2022.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