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SMALL
노후에 대한 생각과 노후 시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토론 내용입니다. 일부는 전원 주택을 추천하며 장기 임대를 통해 사는 방법을 제안하고, 다른 의견은 동탄, 세종 등 다양한 지역을 추천하며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복합 주거 공간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나이가 들어도 외로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위치와 주거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dKreG/btsICC9fdrw/J4UJBKXwrkOLlBSzFaKzz0/img.jpg)
노후 주거지 선택의 중요성?
노령 세대는 예전보다 훨씬 더 건강해졌지만, 병원 옆에 살 필요는 없어요.
단순히 실버타운에서 노인들끼리 모여 사는 것은 오히려 더 늙는 원인이 될 수 있어요.
노후에는 자산을 자식에게 모두 주고 적게 쓰는 방식보다, 장기적인 삶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전원 주택은 매입하고 관리가 어려우며, 처분하기에도 힘들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해요.
대한민국은 내년에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 예정이므로, 적절한 노후 대비가 필요한 시기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ccgZ/btsIAU4HdsT/kbLkvqu3ycTQGMmGXoKcm0/img.jpg)
🏘️ 노후준비의 중요성
초고령 사회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할 때를 의미하고, 이는 미래의 확실한 모습이에요.
정부나 사회 차원에서 초고령 사회를 위한 준비가 부족하다고 해요.
그래서 개인이 스스로 노후를 철저히 준비해야 한답니다.
현재 한국은 노후 빈곤율이 가장 높은 나라로, 이는 경제 성장 시기에 성과를 누린 세대도 마찬가지라는군요.
한국은 자산을 적절히 배분하지 않고, 운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노후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은퇴 후 주변 사람들과 편하게 지내기 위한 경제적 준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그래서 노후 준비는 개인적 차원에서 필요한 사항이며, 자산 배분을 적절히 하고 철저히 계획해야 한다고 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IPO0n/btsICXefpWb/n3D0iS0A4stsrF0aIoasS0/img.jpg)
노후를 위해 중요한 자산
건강은 행복한 노후 생활을 위해 중요한 요소예요.
특정 자산에 몰빵하지 말고 다양한 자산 관리가 필요해요.
한국에서는 65세 이상의 81%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어 큰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고, 대응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노령 세대는 유동 자산을 많이 확보하고 복리 투자를 지속하는 게 좋아요.
위험과 외로움을 줄일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며, AI가 주거 개념을 변화시킬 수 있어 먼 미래를 고려해 주거 계획을 세워야 해요..
서울의 주거 만족도와 경쟁력의 차이는?
서울은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5위인 송파구 외에는 포함되지 않았어요.
이 순위는 인구, 경제, 고용, 교육, 건강, 의료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예요.
서울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이 만족도가 낮다고 느끼며, 서울에 사는 주된 이유는 일자리 때문으로 추정돼요.
반면, 지방의 위성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만족도가 높고, 자신이 사는 도시에 대한 자부심이 높아요.
서울의 자랑거리는 주로 부동산 가격이며, 공기나 환경 등의 요소는 자랑하는 경우가 드물죠.
그리고 서울을 홍보할 때 행정 구역 명칭을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으로 제안되었어요..
실버타운의 필요성과 거주 환경
안전과 교통망, 그리고 식사 장소가 근처에 있는 지역을 선호해요.
시끌벅적한 곳을 피하고 숲이나 강 같은 자연 환경이 있는 한적한 곳이 좋다는 제안이 있어요.
병원과 가까운 곳보다는 서울 숲처럼 한가하면서도 먹을 거리가 많은 곳이 더 좋다는 생각도 있어요.
나이가 들면 아이들이 많은 곳에 살고 싶다는 의견이 있고, 젊은 세대와 어우러져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죠.
실버타운이 제공하는 헬스 시설 등의 복지 서비스는 좋지만, 건강한 삶을 위해 다양한 세대가 함께 어우러진 사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요..
실버타운의 영향과 대안은?
일본이 저성장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실버타운 때문이에요.
실버타운은 노령 세대를 분리하여 경제 활력이 떨어지게 만드는데, 노령 세대가 젊은 세대와 어우러져 살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해요.
하지만, 실버타운에 사는 사람들은 같은 나이대끼리만 어울려서 오히려 늙고 활력이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죠.
따라서 실버타운보다는 도심에 있는 아파트에서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더 나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UQvov/btsICFrm0lD/FyoJHKE6KS0Zs5yaOvsum0/img.jpg)
용인 아파트의 장점 및 고층 아파트에 대한 의견
용인에는 지하철과 가까운 아파트가 있고, 특정 연령대만 입주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자 하는 아이디어가 있어요.
제도가 개선되면, 이런 아파트가 많은 사람들에게 호응을 받을 가능성이 크죠.
고층 아파트는 공기와 산소 부족 등의 이유로 노인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돼요.
고층 아파트에서 외로움을 느끼기 쉬우므로, 주거 환경에서의 커뮤니티가 중요하다고 강조돼요.
또한, 낮은 층에 살면서 더 많은 사람들과 같은 시야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되죠..
![](https://blog.kakaocdn.net/dn/p6Zyq/btsIA9nbl5T/j5JeOK6GSkqjqkbdMBT12k/img.jpg)
아파트와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
높은 곳에 있는 아파트는 외로움을 느끼게 할 수 있어요.
나이가 들수록 커뮤니티 시설이 중요하며, 주거 시설의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강조돼요.
한국의 커뮤니티 시설은 대부분 민간에 의존하고, 재건축 시 사회적 격차를 더 크게 만들 수 있어요.
공공적인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하여, 노령 세대가 자유롭게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해요.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아는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더 선호하며 외부인과 교류에 부담을 느낄 수 있어요..
늙어가면 중요한 아파트 선택 요소
나이가 들면 활동 범위를 넓히기 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하죠.
최소 30평대 아파트에서 사는 것이 좋다고 권장됐어요.
안전이 중요하므로 적절한 생활환경을 갖춘 아파트가 필요하죠.
너무 조용하고 한적한 곳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어요.
공공 차원에서는 격차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죠..
![](https://blog.kakaocdn.net/dn/6wxtW/btsIBl8KdXQ/dp6SMcL6upLAsaR8N5SB71/img.jpg)
노후 주거 선택: 소형 주택 vs. 전원주택 vs. 부산
소형 주택은 젊은 세대에게는 뜨는 추세지만, 노후 주거로는 다른 의견이 있어요.
서울에 거주하던 노년층은 여전히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사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하죠.
전원주택은 구매보다는 장기 임대를 추천하며, 이를 통해 전원생활을 경험해보라고 권장해요.
전원주택은 유지 관리가 힘들고, 집값이 하락할 위험이 크므로 구매보다는 임대를 통해 살면서 여유를 즐기는 것이 좋답니다.
또한 부산과 같은 지역은 바다, 산, 맛집 등으로 여유롭고 쾌적한 생활을 제공하므로 세컨하우스나 임대로 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ohBhA/btsIAY0lZhg/prdFQbmEAi0AQYdVsY73hk/img.jpg)
노후에 이상적인 주거지는?
세종시는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증가, 잘 갖춰진 인프라로 노후에 이상적인 지역이에요.
마음 편한 지역과 오랜 인연이 가까운 곳이 중요하죠.
용인, 수원, 과천, 판교, 서울 남부, 경기 남부가 좋은 선택.
동탄은 재테크 면에서도 유망하고 호수, 골프장, KTX, GTX, 반도체 클러스터 등 다양한 인프라가 있어 노후 주거지로 고려해볼 만해요.
경제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정이 붙으면 어디든 고향이 될 수 있어요.
노후에는 집값 상승보다는 정서적 안정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주거 환경이 중요하죠..
![](https://blog.kakaocdn.net/dn/EGYJB/btsICQzuxqH/0lXfncyQ2g9vOoOBZet8L0/img.jpg)
토론: 노후 주거 선택의 중요성?
노후에 어디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논의돼요.
전원주택에서 장기 임대를 통해 사는 방법이 제안되며, 동탄, 세종 등 다양한 지역이 추천돼요.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서 건강과 활력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언급돼요.
나이가 들어도 외로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주거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돼요..
이 토론에서는 노후의 주거 선택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제안이 공유되었습니다. 전원주택부터 도심 아파트, 그리고 다양한 지역까지 여러 선택지가 검토되었으며, 그 각각의 장단점이 논의되었습니다. 노령 세대가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시설과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거 환경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또한, 경제적 준비와 자산 관리의 중요성도 함께 언급되었습니다. 결국, 노후 주거지는 개인의 필요와 선호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정서적 안정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출처:유튜브/머니인사이드
728x90
반응형
LIST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더 오르기 전에 사는 게 답? f.김건우 분전아카데미 대표 (0) | 2024.07.19 |
---|---|
실제 부동산 투자한 사람만 아는 지금 시장 분위기 (5) | 2024.06.22 |
2024년 2월 분양 예정! 송도 자이풍경채 그라노블 청약 자격 및 주요 특징 (1) | 2024.02.15 |
은마아파트 평당 68만원에서 7,700만원 113배 (0) | 2023.02.16 |
[티끌 모아 태산]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후기 (4)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