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AI와 디지털 문명이 우리 일상에 얼마나 깊숙이 자리 잡았는지 실감하고 계시나요? 2016년,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꺾었을 때부터 이미 AI의 위력은 화제가 되었지만, 진정한 디지털 대전환은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이루어졌어요. 그때 우리는 강제적으로 디지털 문명으로의 대이동을 경험하게 되었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로나 이후 어떻게 디지털 문명이 우리 사회에 깊이 뿌리내렸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일어난 사회적 변화와 뉴노멀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함께 그 변화를 살펴보면서 우리 삶의 새로운 표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해보아요.
1. 알파고의 등장과 사회적 반향 2016년,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3대 1로 이기면서 우리 사회는 큰 충격에 빠졌어요. 사람들은 AI가 인류를 지배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이야기부터 지구 종말론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했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은 금방 잠잠해졌고, 대중이 AI를 많이 사용하거나 디지털 세계로 급격히 이동하는 일은 없었어요. 여전히 시리나 빅스비는 그저 말재주만 좀 있는 AI에 불과했죠.
2. 코로나바이러스와 디지털 대전환 2020년 1월, 코로나바이러스의 인류 대습격이 시작되었어요. 전 인류가 패닉에 빠지고 국가 간의 이동이 막히는 초유의 격리 사태가 발생했죠. 인류는 두려움에 빠져 디지털 문명으로 줄행랑을 쳤답니다. 이 갑작스러운 재앙을 해결해준 것도 손안의 스마트폰이었어요.
3. 디지털 문명으로의 대이동 특히 저희나라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생필품을 구하는 데 큰 문제가 없었어요.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문명으로의 대이동을 선택한 인류는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했어요. 온라인 수업, 원격근무 등 새로운 디지털 생활에 익숙해져야 했죠.
4. 뉴노멀의 정착 코로나가 끝난 지금, 인류는 디지털 생활로 돌아가지 않고 새로운 표준, 뉴노멀을 받아들였어요. 디지털 생활은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 생활방식보다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유리했기 때문이죠. 모바일 뱅킹, 온라인 쇼핑, 재택근무, 원격교육 등은 크게 확산하여 과거로 돌아오지 않았어요.
5. 재택근무의 증가 가트너의 조사에 따르면, 2023년 말까지 미국의 지식 근로자 중 51%가 하이브리드 근무를, 20%가 완전 원격근무를 할 것으로 예상했어요. 이와 같은 변화는 주요 도시들의 오피스 공실률을 급격히 치솟게 했답니다.
6. 새로운 도시 설계의 필요성 이제 사람들은 도시를 재설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어요. 오피스가 아니라 대형 레지던스를 도심 한가운데 건설해야 한다는 것이죠. 개인의 삶의 변화가 업무 방식과 도시 설계까지 변화시키고 있어요.
7. 직장문화의 변화 직장생활의 중요한 일부분이었던 회식이 사라졌고, 직급이 갖는 권위보다는 개인의 인권이 더 존중받는 조직문화가 자리 잡기 시작했어요. 조직 내부의 도덕적 기준도 엄격해졌어요.
8. 새로운 문명을 이해하고 준비하자 디지털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고, 우리는 생각하는 사피엔스니까 데이터의 의미도 읽어낼 수 있어요. 과거를 교훈 삼아 미래를 슬기롭게 준비해야 해요. 저와 함께 더 깊은 이야기 속으로 가보아요.
※참고서적:AI사피엔스/최재봉
'ISO·ESG·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1유형 문명이 된다면? 15가지 예측 (4) | 2024.07.15 |
---|---|
기술의 미래에 대한 12가지 예측 | Vinod Khosla | TED (1) | 2024.06.20 |
직장에서 불안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 | 아담 와이브류 | TED (0) | 2024.06.17 |
위대한 리더들이 행동을 이끌어내는 법 4가지 (TED Talks 역대 재생순위 TOP2 강연자) (0) | 2024.06.16 |
CSR, CSV, ESG 비교 (1) | 202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