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의 원리와 무능력자의 승진
직장인은 무능력이 드러날 때까지 승진한다.
“회사 내에서 일 잘하기로 소문난 홍 대리는 입사 동기들보다 빨리 과장으로 승진하여 최연소 팀장이 되었다. 그런데 홍 과장이 맡고 있던 팀의 업무 성과가 계속해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실무자로서 능력은 뛰어났지만, 팀장으로서 팀원을 잘 이끌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리더십이 부족했던 것이다.”
"탁월한 실적과 훌륭한 리더십의 소유자 박 부장은 승승장구하여 모두의 예상대로 상무로 승진했다. 회사의 미래를 좌우할 신사업본부장이 된 박 상무는 신규 사업을 연이어 추진했다. 그러나 결과는 참담했다. 모두 실패했다. 그에게는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도, 날카롭고 치밀한 기획력도 없었다. 그저 불도저처럼 밀어붙이기만 한 것 이다.” 조직 내에서 모든 구성원은 자신의 무능력함이 드러날 때까지 승진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경향을 피터의 원리(The peter principle)라고 한다. 이는 무능해지기 쉬운 조직의 병리현상을 지적하는 이론으로 위의 사례처럼 무능력한 관리자를 빗대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원리를 처음 주장한 사람은 미국 컬럼비아대학 교수였던 로렌스 피터(Laurence J. peter)다. 그는 1969년 작가인 레이몬드 헐 (Ramond Hull)과 함께 쓴 책 피터의 원리<피터의 원리(The Peter Principle)> 에서 수 백 건의 무능력 사례를 연구한 결과, “무능력자의 승진이 위계 조직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승진이라는 체계가 자기가 잘하는 일에서 못하는 일로 옮겨 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조직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승진하지만, 새로운 지위에 오르면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업무를 새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일을 잘 할 만하면 승진하여 새로운 업무를 맡게 되어 일의 능률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로렌스 피터 교수는 이런 승진 과정이 반복되면서 조직의 높은 자리가 무능력한 사람으로 채워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되는 주된 이유는 윗자리가 빌 경우 바로 아래 사람에게 그 자리를 주기 때문이다. 그 자리에 맞는 사람인지 아닌지 검증도 없이 승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피터의 원리에 따르면 연공서열을 중시하는 관료조직은 무능한 사람으로만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지위까지 승진하는 사람은 그것이 자신의 최종 직위임을 직감적으로 알게 된다. 그렇다고 자신의 무능력을 순순히 인정할까? 어떤 사람은 일중독자가 되어 자신의 유능함을 증명하려고 한다. 어떤 사람은 무능을 감추려고 하다가 스스로 파멸에 이르기도한다. 피터의 원리에 따르면, 행복한 삶이란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밭휘할 수 있는 수준의 성공에 만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은 자신을 끝임 없이 채찍질하여 산꼭대기까지 오르도록 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중도에 넘어지고 쓰러져 힘을 모두 소진한 후에야 산 정상에 오르는 것을 포기한다. 피터의 원리에서 벗어나려면 자신이 멈춰야 할 곳을 깨닫고 욕망의 끈을 제때 놓을 수 있는 현명함과 결단력을 지녀야한다.
출처 : 직장인 3분 지식 조환묵지음/더메이커
'자기계발 >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회하지 않는 삶은 가능한가 (6) | 2022.04.26 |
---|---|
그들은 하나둘 사라져갔다. (0) | 2022.04.23 |
【재물의 신, 범려】부와 명예를 모두 누린 사나이 (2) | 2022.04.20 |
미덕의 힘은 시간이 흐를수록 강해진다. (2) | 2022.04.18 |
롱테일 법칙과 인터넷 비즈니스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