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아시아나·에어부산, 기내 선반 보조배터리 보관 금지 조치 시행
🛑 최근 항공기 화재 사고, 왜 발생했을까?
지난 1월 28일, 부산 김해공항에서 이륙 준비 중이던 에어부산 여객기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승객과 승무원 176명 전원이 비상 탈출했지만, 사고 원인으로 기내에 보관된 보조배터리에서 발화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 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과열되면 화재 위험이 커질 수 있음
🔥 특히, 기내 선반에 보관할 경우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점이 문제로 떠오름
이에 따라 항공사들은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및 보관 규정을 긴급 강화했습니다.
🛫 보조배터리 기내 보관 규정, 어떻게 바뀌었나?
항공사 변경된 보조배터리 관련 규정 시행 날짜
에어부산 | -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 탑승구에서 보조배터리 소지 여부 확인 - 배터리가 없는 수하물에 'No Battery Inside' 스티커 부착 - 기내 안내 방송 횟수 확대 (2회 → 3회) | 2025년 2월 7일 (일부 노선 시범 운영 후 확대) |
대한항공 | -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보관 금지 조치 검토 중 - 승객들에게 좌석 포켓에 보관하도록 안내 강화 - 승무원 대상 화재 대응 교육 강화 | 시행 시기 미정 |
아시아나항공 | -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승객이 직접 휴대하도록 안내 강화 - 공항 및 게이트에서 보조배터리 반입 안내 방송 추가 | 시행 중 |
티웨이항공 | - 보조배터리를 비닐팩에 보관하도록 조치 | 시행 중 |
이스타항공 | - 기내 안내 방송 횟수 증가 | 시행 중 |
✅ 여행객이 꼭 알아야 할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 반입 가능 용량
✔️ 100Wh 이하: 문제없이 기내 반입 가능
✔️ 100Wh ~ 160Wh: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불가
📌 반입 방법
✅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개인이 소지해야 함 (휴대 수하물에 넣어야 함)
✅ 기내 선반에 보관 금지! (좌석 포켓이나 개인 가방에 보관)
✅ 배터리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포장 (비닐팩·보호 케이스 사용 권장)
✅ 배터리가 없는 수하물만 기내 선반 보관 가능 (에어부산의 경우 ‘No Battery Inside’ 스티커 부착 필수)
📌 기내 반입 금지 사항
❌ 위탁 수하물(부치는 짐)에 보조배터리 넣기 금지
❌ 불량 배터리(팽창, 파손, 이상 발열 증상) 반입 금지
❌ 사용 중 발열이 심한 보조배터리 사용 금지
🛟 화재 발생 시 대처법
만약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기
🚨 절대 물을 붓지 말 것! (리튬이온 배터리는 물과 반응해 더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음)
🚨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 대피
항공사들은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승무원 교육을 강화하고, 화재 진압 장비(방화 장갑, 배터리 화재 진압 주머니 등)를 추가 구비할 예정입니다.
✍️ 마무리
최근 에어부산 기내 화재 사건 이후 보조배터리 관리 규정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각 항공사의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을 반드시 확인하고, 안전한 여행을 위해 보조배터리 보관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재테크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흥배곧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착공! 현대건설과 공사 계약 체결 (1) | 2025.01.31 |
---|---|
AI 기술이 만드는 재활용 산업의 혁명: 상세 분석 (0) | 2024.11.17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이 한국 경제에 미친 구체적 영향 분석 (9) | 2024.11.07 |
기업의 LLM 도입 및 활용 전략: 최신 트렌드와 성공적인 활용법개요 (4) | 2024.11.05 |
구글 알파고와 AI 혁명의 노벨화학상 수상 (3) | 2024.10.18 |